[그로스해킹 -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]
1-1. Retention, Conversion, NPS (Net Promoter Score)
그로스해킹 -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- 인프런 | 강의
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의한 핵심지표를 바탕으로, 실험을 통해 배움을 얻고, 이를 빠르게 반복하면서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. 그로스해킹의 기본을 다루는 101 강의입니다., - 강의 소개 | 인프런
www.inflearn.com
위 강의를 들으며 학습한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
[그로스해킹 -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] 0. 그로스해킹과 PMF(Product Market Fit)
앞의 글에서
Product-Market Fit을 확인하는데에 적합한 지표로 아래 세가지를 들었다.
- Retention : 서비스에 처음 접속한 사람이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져나가는지, 계속 남아서 꾸준히 활동하는지
- Conversion : 핵심가치를 주는 각 단계들을 유저들이 얼마나 잘 넘어오고 있느냐
- NPS (Net Promoter Score) : 순수추천지수, “이 서비스를 주변인에게 얼마나 추천하고 싶은가요?”
이 글에서는 위 세가지 지표에 대해 더 자세히 작성해본다.
1. Retention
리텐션이란?
시간이 지날수록 얼마나 많은 유저가 제품으로 다시 돌아오는지를 측정한 것.
평균적으로 80%의 신규 유저는 앱 다운로드 3일 후부터 더 이상 해당 앱을 사용하지 않는다.
제품이 갖는 진정한 가치는 얼마나 유저를 잘 유지시키는가에 달려있다.
유저가 단순히 유입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,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!
-> 이를 확인한 수치가 바로 리텐션.
리텐션 커브 그래프
출처 : https://blog.ab180.co/posts/retention-series-1
- Product A :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안정화되는 곡선의 형태
- Product B : 0%를 향해 빠르게 감소하는 직선의 형태
Product B는
근본적으로 프로덕트 마켓 핏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.
반대로 초기 리텐션이 급감하더라도 일정 수준에서 안정화되는 그래프라면 프로덕트 마켓 핏을 달성했다고도 볼 수 있다.
출처 : https://blog.ab180.co/posts/retention-series-1
리텐션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
- 리텐션 커브 자체를 위로 올리거나
- 리텐션 커브를 평평하게 만들거나
안드로이드 앱들의 리텐션은 평균적으로 리텐션이 초기에 빠르게 떨어지다가 안정화되는 경향이 있고, 상위 앱일수록 안정화되는 지점이 빠르다고 볼 수있다.
카테고리에 따른 리텐션 수치
출처 : https://andrewchen.com/retention-versus-frequency-for-mobile-product-categories/
출처 : https://www.apptentive.com/blog/2021-app-retention-benchmarks/
리텐션은 카테고리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는다.
판단 시 카테고리에 따른 수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.
2. Conversion
컨버젼이란?
핵심가치를 주는 각 단계들을 유저들이 얼마나 잘 넘어오고 있는지,
총 방문자 수 중 원하는 목표(과업)을 완료한 방문자의 비율.
낮은 전환율은 아래와 같은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.
- 서비스 또는 사이트의 구성이 작업을 완료하기에 어렵거나 비효율적임
- 서비스 또는 사이트가 제안하는 것에 대해 근거가 부족함 (너무 비싸거나 잠재고객에게 충분히 가치가 없음 등등)
출처 : https://www.smartinsights.com/ecommerce/ecommerce-analytics/ecommerce-funnel-conversion-rates/
카테고리에 따른 컨버젼 수치
출처 : https://www.wordstream.com/conversion-rate
역시 전환율 또한 산업 및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
마켓 핏 판단시에 카테고리에 따른 수치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.
NPS (Net Promoter Score) : 순수 고객 추천 지수
NPS란?
"친구나 동료에게 제품/서비스를 추천할 가능성이 얼마나 됩니까?" 라는 설문조사에
응답자는 0(전혀 그렇지 않음) 에서 10(매우 높음) 사이의 등급을 부여하고,
응답에 따라 고객은 세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게 된다.
선택적으로 ‘해당 점수를 선택한 이유’ 문항을 추가하기도 함.
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,
NPS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, 비추천고객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, 피드백을 할 수 있다.
출처 : https://medium.com/jandi-messenger-stories/nps-1-회사-성과-지표로-고민중이라면-nps-개념은-알고-가자-40fdc09f3381
가장 기본적인 포맷은 위와 같은 11점척도 NPS 이다.(0점~10점)
- 0~6점 : Detractors (비추천고객 / 추천하지 않음) - 재구매가능성, 추천 가능성, 충성도가 낮아 이탈의 위험이 큼
- 7~8점 : Passives (중립고객 / 수동적인 추천자) - 서비스에 만족하지만 적극적인 추천자로 간주될만큼은 아님
- 9~10점 : Promoters (적극적인 추천자) - 일반적으로 충성도가 높고 열정적인 고객, 긍정적인 온라인리뷰를 공유하거나 소셜미디어 또는 친구들에게 제품을 추천함으로써 '브랜드 대사'가 될 가능성이 높음
NPS 계산법
추천고객 비율 (%) - 비추천고객 비율(%) = NPS (%)
- 중립고객은 계산에 반영되지 않는다.
- 즉, NPS는 -100% ~ +100% (-1 ~ +1)의 범위에서 움직인다.
- -100에 가까운 점수는 전반적으로 비추천 고객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
- -100은 추천 고객이 없음을 나타냄
- 100에 가까운 점수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프로모터가 있음을 나타냄
- 샘플 크기가 작을 수록 샘플 크키가 클 때보다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더 큼
그래서 어느정도여야 좋은 NPS인가?
- 실제로 해보면 0 넘기도 어렵다. 플러스만 나와도 나쁘지 않다.
- NPS를 만든 Bain & Company는 이렇게 제안하고 있다.
- 0 이상이면 good
- 20 이상이면 favorable
- 50 이상이면 excellent
- 80 이상이면 world class
- 마찬가지로 카테고리별로 기대치가 달라진다. 산업이나 배경에 따른 평균 점수를 참고해도 좋다.
출처 : https://www.qualtrics.com/experience-management/customer/good-net-promoter-score/
- 고객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산업도 있다.
(예 : 금융 및 의료산업 등 / 대출이 거부된 경우 등에는 고객이 만족할 가능성이 낮음)
- 일부 산업에서는 설문조사 시점에 따라 NPS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.
(예 : 코로나 대유행 > 항공여행의 불확실한 특성 > 항공, 공항에서의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 > NPS가 떨어짐)
NPS를 도입해야하는 이유
- 고객 만족도 조사에는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‘후한 점수’를 주는 경향이 있음 / 실제 성과인 ‘고객 유지율 (Customer Retention Rate)’ 연결성이 낮음
- 비즈니스 전문지 ‘하버드 비즈니스 리뷰(HBR)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NPS는 실제로 기업의 3년 성장률과 비례함
- NPS는 객관적이며 단순하여 적용하기 쉬움.
세 번째 이유만으로도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내야하는 스타트업에서는 충분히 실행해볼 만하다.
설문조사 형식
- 짧고 핵심적이게! 설문조사가 길거나 복잡하면 낮은 응답율 유발
- (호의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) 후속질문 사용하지 않기
- 금전적인 보상이나 바우처를 제공하는 경우, 전화통화나 대면회의로 진행할 경우에는 고객을 압박하여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기 어려울 수 있음
추가하면 좋은 문항
NPS 조사 시 “주변에 얼마나 추천하고 싶으신가요?”라는 문항 하나로만 진행해도 괜찮다.
다만, 아래 문항을 추가로 물어보면 더욱 풍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.
(1) 응답자 정보
NPS 개선을 위해 특히 어느 고객층에 집중해야 할지 힌트를 얻을 수 있음.
예시) 성별, 연령대, 지역 등
(2) 비추천 고객에게 0~6점을 준 이유를 묻는 문항
고객이 어디서 Pain Point를 느끼는지 좀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.
예시) 해당 점수를 준 이유를 자유롭게 남겨주세요.
(3) 추천 고객에게 실제로 추천해본 경험이 추천 메시지를 묻기
열렬한 팬이 우리 브랜드의 어떤 면을 좋아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음.
예시) 실제로 추천해주셨다면, 주변인에게 어떻게 이야기하며 추천하셨나요? 혹은 추천하고 싶다면 어떤 이야기를 해줄 것 같나요?
참고 링크
https://blog.ab180.co/posts/retention-series-1
유저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
어떻게 하면 유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을까요? 그로스 단계와 상관없이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소개합니다.
blog.ab180.co
https://andrewchen.com/retention-versus-frequency-for-mobile-product-categories/
Retention versus frequency for mobile product categories at andrewchen
One of the frequent points I try to make on this blog is that metrics are a reflection of your strategy you’ve chosen, not the other way around.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comparable numbers, like +1 day or +1 week retention, DAU/MA
andrewchen.com
https://www.apptentive.com/blog/2021-app-retention-benchmarks/
2021 App Retention Benchmarks
As you act on your 2021 app retention strategy, here are the benchmarks to aim for based on a study of 1,000 apps across a billion+ installs.
www.apptentive.com
https://www.wordstream.com/conversion-rate
Conversion Rate: What Is a Conversion Rate?
Conversion rate is defined as the number of visitors to a website that complete a desired goal (a conversion) out of the total number of visitors.
www.wordstream.com
https://medium.com/jandi-messenger-stories/nps-1-회사-성과-지표로-고민중이라면-nps-개념은-알고-가자-40fdc09f3381
NPS 1 : 회사 성과 지표로 고민중이라면 NPS 개념은 알고 가자
안녕하세요. 업무용 메신저 잔디(JANDI) Growth팀의 Hannah입니다.
medium.com
https://www.qualtrics.com/experience-management/customer/good-net-promoter-score/
What is a Good Net Promoter Score (NPS)? - Qualtrics
The perfect Net Promoter Score of 100 is almost impossible for any organization. Discover what a ‘good’ score looks like in your industry.
www.qualtrics.com
http://www.openads.co.kr/content/contentDetail?contsId=7975
수많은 기업에서 선택한 NPS 알아보기 - 기본편
수많은 기업에서 선택한 NPS 알아보기 - 기본편
www.openads.co.kr
'📖 그로스 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ARRR] Acquisition : 획득 - 딥링크(Deep link), Attribution 관련 이슈들 (0) | 2023.02.05 |
---|---|
[AARRR] Acquisition : 획득 - 모바일 앱 Attribution (0) | 2023.01.29 |
[AARRR] Acquisition : 획득 - 기본개념과 UTM(Urchin Tracking Module) 파라미터 (0) | 2023.01.23 |
AARRR의 개요 (0) | 2023.01.18 |
그로스해킹과 PMF(Product Market Fit) (0) | 2023.01.12 |